본문 바로가기
성경공부/구약

요셉의 이야기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by 홍도사 2020. 4. 8.

설교의 중심인물로 요셉이 등장할 때면 당혹스러울 때가 많다. 성경이 그려내고 있는 요셉보다는 우리가 꿈꾸고 있는 인물이 요셉으로 둔갑하여 설교될 때가 많기 때문이다. 설교자도, 설교를 듣는 회중도 성경을 단편적으로 읽으며, 자신의 욕망을 투사해서 읽는다. 항상 배우나 진리에는 이르지 못하는 사람처럼 느껴질 때가 많다. 

 

기본적으로 창세기는 한 권의 책이다. 서로 다른 이야기들과 다양한 주제들이 얽혀있지만 하나의 큰 흐름을 갖고 있음에 틀림없다. 창세기 12장부터 창세기 50장까지는 믿음의 조상들이 등장한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 그리고 그 이후에 요셉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요셉의 이야기를 온전하게 읽기 위해서는 창세기 전체적으로 반복되는 일관적인 주제가 무엇인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창세기는 3장의 타락 사건 이후로 반복적으로 세속적 인류를 등장시킨다. 가인의 자손, 네피림, 바벨. 이들은 각종 기술과 문명을 갖고서 하나님으로부터 독립한 족속이다. 반면 그에 대한 대척점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아브라함이다. 기술과 문명을 갖고 있진 않다. 또한 대단한 성품을 가진 것도 아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이란 한 인간을 설득하시고 그에게서 신앙적 품격을 만들어내신다.

 

아브라함 이야기는 이삭의 이야기와 꼭 닮았다. 야곱의 이야기와도 꼭 닮았다. 세속적 인류의 대척점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계보다. 가진 것이 마뜩치 않고 흠모할만한 품성도 없지만 그들은 인생 속에서 하나님의 섭리를 경험한다. 도저히 자격이 없는 것처럼 보이던 믿음의 조상들은 하나님에 의해 성숙되고, 배워가며, 끝내 신앙적 모범의 실천에 이르게 된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이야기가 끝났을 때 우리는 요셉의 이야기를 만난다. 요셉의 이야기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요셉의 이야기는 사뭇 다르다. 두 자매 사이의 갈등은 야곱 대에서 해결되지 않고 야곱의 자녀들에 이어진다. 장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장자 대접을 받으며 끝내 집을 떠나야만 한다는 이야기는 흡사 야곱의 이야기와 이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요셉의 이야기는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펼쳐진다. 애굽 제국으로 입성한 요셉은 지혜를 발휘하여 보디발의 집을 잘 경영하게 되고, 꿈을 해석하는 지혜를 통해 애굽 제국의 총리로 등극하게 된다. 이야기 속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품성의 결함은 결코 발견되지 않는다. 

 

흥미롭게도 창세기는 요셉의 이야기 곳곳에 유다의 이야기를 배열한다. 유다는 야곱의 넷째 아들이다. 그가 등장하는 첫 장면은 비겁한 장면이다. 요셉의 죽음을 막았지만 끝내 애굽으로 팔아넘기는 원흉으로 등장한다. 더 나아가 다말이란 며느리에게도 옳지 못하게 대한다. 우리는 이야기 속에서 드러나는 유다의 품성 속에서 기시감을 느낀다. 아브라함이 그랬고, 이삭이 그랬고, 야곱이 그랬다. 하지만 이야기는 거기서 끝나지 않는다. 아버지 야곱을 설득하고 동생 요셉을 설득하는 장면은 신앙적 헌신의 모범이다. 창세기는 넷째 아들에 불과한 유다를 장자처럼 부각시킨다. “유다와 그의 형제들(44:12)”

 

창세기에 기록된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이야기와 유사한 이야기는 요셉의 이야기이지 않다. 바로 유다의 이야기다. 우리는 믿음의 조상을 다룬 이야기들 속에서 크게 두 가지를 배운다. 하나는 하나님의 섭리다. 보잘 것 없는 품성의 인간들을 연단시켜나가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발견한다. 또 다른 하나는 신앙적 헌신을 배울 수 있다. 보잘 것 없는 품성의 인간들이지만 하나님과 함께 하게되면서 끝내 신앙적 헌신을 실천한다. 우리는 유다에게서 신앙적 헌신을 배울 수 있다. 유다의 이야기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이야기와 동일한 패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셉의 이야기는 결코 믿음의 조상들을 다룬 이야기와 같은 궤에 있지 않다. 요셉 이야기는 그의 보잘 것 없는 품성을 부각시키지 않는다. 또한 그의 삶 가운데 개입하셔서 그를 연단시키는 면모를 찾아보기 힘들다. 오히려 요셉의 이야기는 신의 부재에 대한 이야기다. 그가 애굽에 팔려갈 때에도, 보디발의 집에서 누명을 쓸 때에도, 종의 꿈을 해석한 이후 잊혀질 때에도 그는 신의 부재를 경험한다. 이는 포로기의 전형적인 이야기 패턴이다. 다니엘, 에스더, 느헤미야가 꼭 그렇다. 

 

포로기 위인들의 이야기는 전형적인 신의 부재를 다루고 있다. 땅과 성전의 부재는 곧 하나님의 부재다. 그들은 극적인 위기를 겪는다. 하나님은 결코 그들의 삶에 개입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보면 그들은 위기를 극복한다. 앞의 이야기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하나님이 활동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이들은 제국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하게 된다. 또한 제국의 지혜자들이 갖고 있는 기술들을 이들도 갖게 된다. 꿈을 해몽하고, 미래를 예측한다. 

 

이런 류의 이야기들 속에서는 각 인물의 품성을 입체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그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신앙의 인물로 묘사된다. 신의 부재가 확실한 상황에도 그들은 믿음을 지킨다. 물론 그들은 모두 제국의 이익에 복무하는 결함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서도 각 인물 속에서 신의 섭리가 진행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요셉 덕분에 야곱의 족속들은 흉년을 대피할 수 있었고, 다니엘과 에스더 덕분에 유대민족들은 살아남을 수 있었으며, 느헤미야 덕분에 유대민족들이 귀환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요셉 이야기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이야기와 견주어 읽는 이야기이지 않다. 다니엘, 에스더, 느헤미야와 견주어 읽는 이야기다. 믿음의 조상 이야기는 개개인이 경험하는 하나님 이야기에 가깝다. 미시적이라 할 수 있다. 반면 포로기 위인들의 이야기는 민족 전체가 한 사람을 통해 경험하는 하나님 이야기에 가깝다. 거시적이라 할 수 있다. 창세기는 이어질 출애굽을 위해 예술적으로 유다의 이야기와 요셉의 이야기를 겹쳐서 우리에게 들려준다.

 

요셉은 신앙과 성공을 둘 다 갖춘 인물이다. 그런 의미에서 많은 이들이 욕망을 투사하기 쉬운 인물이다. 따지고보면 다니엘도, 에스더도, 느헤미야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성경이 이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유는 신앙과 성공을 둘 다 갖게 되는 비결을 알려주기 위해서이지 않다. 요셉은 애굽의 총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상들에게 약속된 땅을 잊지 않았다. 다니엘도, 에스더도, 느헤미야도 제국에 복무하게 되었음에도 자신의 민족을 잊지 않았다. 그들의 정체성은 성공한 위치에 있지 않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신앙에 있었다.

 

요셉 이야기는 다시 바르게 읽을 여지가 있다. 세속사회의 발전과 함께 교회와 신앙의 정체성이 흐릿해지는 지금이야말로 다시 읽을 여지가 있다. 오늘날 성공한 한국교회의 성도들은, 또한 화려한 건물과 치밀한 시스템을 구축한 한국교회는, 총리에 오르게 된 요셉과 꼭 닮았다. 요셉이 세속의 지혜를 이용하여 총리에 오른 것처럼, 한국교회와 성도들도 세속의 방식을 이용하여 꽤 괜찮은 자리에 올라섰다. 하지만 분명 요셉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향을 잊지 않았다. 훗날 죽은 이후에라도 무덤을 약속의 땅으로 이관할 것을 요구했다.

 

요셉 이야기를 다시 읽자. 가장 끝자락에 나오는 요셉의 신앙의 고백을 기점으로 다시 읽자. 다시 읽은 후에도 우리는 신앙과 성공 모두를 차지하려는 욕망을 요셉 이야기에 투사할 수 있을까? 요셉 이야기는 도리어 다르게 말하고 있다. 신앙과 성공 모두를 차지한 것처럼 보이는 요셉조차도 그의 마음은 오직 한 곳을 향하고 있었다고.